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해외고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학생부 대체서식 작성 요령

2026학년도 9월 수시 지원을 위한 학생부 대체서식 작성 요령을 알아본다.

해외고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학생부 대체서식 작성 요령

재외국민교육정보 교육국 한국 대학 입시에서 해외고(국외고 또는 외국고) 출신 학생들을 위한 수시 전형의 평가 방식은 대학별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특히, 학생부 종합전형에 지원을 희망하는 해외고(국외고 또는 외국고) 출신 학생들은 학생부의 내용에 준하는 '학교생활기록부 대체 서식'이라는 서류를 증빙서류와 함께 제출 함으로써 국내 고등학교 학생들과 경쟁할 수 있는 준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부 대체 서식을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입시의 당락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사항으로 표준화 학력 자료를 들 수 있다. 표준화 학력 자료란 SAT, ACT와 같은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데 쓰이는 표준화 시험이나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AP(Advanced Placement),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A-Level(Advanced Level) 등에 해당하는 시험 결과들을 말한다. 국제학교를 졸업한 학생 중, 많은 학생이 이러한 시험들을 공부하고 치르게 되는데, 이러한 표준화 학력 자료를 반영하는 정책에 관한 일관성이 없고 대학마다 제각각이며 요강에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설명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광고 : 해외고 수시 전형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대학별 서류 제출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별 평가 방식의 경우 이전 기사에서 다뤘으므로 생략한다. 서울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일반전형)이 해외고 출신 지원자가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서울대는 학교 과정 내에서 이루어진 IB, AP 등 표준화 학력자료는 공인 성적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평가에 반영하는 대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SAT, ACT와 같은 학교 과정 외 성적은 제출이 불가하다. 학생부 대체 서식은 총 10개 항목에 각각 100자까지 설명할 수 있으며 활동 증빙자료는 총 30페이지까지 제출할 수 있다. 연세대는 학생부 종합 국제형 전형을 통해 해외고 출신 학생들을 선발하며, 모든 표준화 학력 자료를 인정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SAT, AP, IB, ACT 등 다양한 시험 성적을 제출할 수 있어, 학생들이 다양한 학업 배경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부 대체 서식은 비교과 활동 6개(탐구, 자율, 진로, 기타) 및 봉사활동 6개로 총 12개의 활동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고려대는 국외고등학교 출신의 학생들에게 표준화 학력 자료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생부 대체 서식과 관련한 자료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으로는 국외고 출신 학생들에게 평가가 매우 보수적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체육교육과, 디자인조형학부, 사이버국방학과의 경우 실기/실적 전형으로 활동 증빙 목록 및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학생부 대체 서식은 대부분의 대학이 10개 항목 또는 5개 항목을 제출하게 되어 있으며, 각 항목의 설명에 있어서 50자 설명, 100자 설명, 300자 설명 등 다양한 제출 형태를 요구한다. 주요 대학 일부의 대학별 대체 서식과 관련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대학명 대체서식 특이사항 서울대 10개 항목, 100자 설명, 30페이지 제출 학교 과목 내에 있는 IB, AP 등의 표준학력자료로 공인성적 제출 가능. 단, ACT, SAT와 같이 학교과정에 없는 공인성적은 제출 불가 연세대 비교과활동 6개 봉사활동 6개 총 국제학생의 경우 표준화 학력자료 다 인정. (AP, IB, ACT 등 제출 가능) 고려대 해당없음 해당없음 서강대 총 10페이지까지 제출 가능 SAT, ACT 점수 및 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은 공인성적은 제출 불가. 표준학력자료(AP, IB, NCES) 제출 가능하나, 입학사정에서 반영 하지 않을 수 있음 성균관대 10개활동 50자 설명 20페이지 제출 학교 성적표에 있는 표준화학력자료 반영 가능. 반영의 형태와 비율은 학교자체적으로 결정. 단, ACT, SAT는 불가. 한양대 10개활동 50자 설명, 10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 일체를 반영하지 않음 중앙대 10개항목 50자 설명 10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는 원칙적으로 제출이 불가하나 학교 커리큘럼에 포함된 AP, IB, A-Level등의 파이널 성적을 학생부대체서식에 하나의 활동으로 제출 가능 경희대 15개 항목 50자 설명 15페이지 제출 학교 성적표에 있는 성적으로만 평가함. 외부 성적(AP, IB, SAT, ACT 등)은 절대 제출 불가. 한국외대 15개 항목 50자 설명 15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는 제출 못함. 성적표의 내용만으로 평가 하지만, 성적표에 있는 표준화학력자료의 경우 대체서식에 작성하여 평가에 반영은 가능. 이때, 증빙서류는 학교 성적표라야 함. 세종대 100자 설명 15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는 원칙적으로 제출이 불가하나 커리큘럼에 있는 성적의 경우 파이널 성적을 학생부대체서식에 하나의 활동으로 제출 가능 아주대 6개 항목 50자 설명 10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는 제출해도 평가 안함. 다만, 성적표안에서 AP 또는 IB를 했다는 것이 보여지므로 우수한 커리큘럼으로 수업 했다는 것을 확인 함. 다만, 공대쪽을 지원하려면 성적표에 미적분 부분이 반드시 있는 것이 유리 하므로 이점 염두해서 지원 하기를 권장. 숭실대 10개 항목 100자 설명 10페이지 제출 표준화 학력자료는 원칙적으로 제출이 불가하나 커리큘럼에 있는 학교의 경우 파이널 성적을 학생부대체서식에 하나의 활동으로 제출 가능 건국대 5개 항목 300자 설명 목록만 제출 학교 성적표에 있는 성적으로만 평가함. 대체서식에 외부 성적(AP, IB, SAT, ACT 등) 일체 기입 불가. 대체서식 300자의 경우 자기소개서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에 대해서 문제 삼지 않으나 가능하면 팩트 위주의 내용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 함. 서울여대 5개 항목 10페이지 제출 학교 성적표에 있는 성적으로만 평가함. 외부 성적(AP, IB, SAT, ACT 등) 일체 제출 불가. 학생부에 기록될 내용에 준하는 활동 위주로 평가 함 성신여대 1개활동당 2페이지 증빙, 최대 10페이지 가능 학교 성적표에 있는 성적으로만 평가함. 외부 성적(AP, IB, SAT, ACT 등) 일체 제출 불가 대부분 대학이 학교 과정에 있는 표준화 학력 자료를 인정하긴 하나 성적표에 포함된 내용은 평가하지만 평가기관(Collegeboard, IBO, Cambridge 등)에서 받은 파이널 공인 성적은 일부 대학에서 인정하고 있고, 일부 대학에서는 평가에서 제외하고 있다. 또한 많은 학교가 학교 과정에 없는 ACT, SAT 등의 성적은 제출 불가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지원할 해외고 출신 학생들은 이점을 잘 염두해서 자신이 준비한 스펙에 맞는 평가를 하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국외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자칫 서류를 잘못 제출하게 되면 평가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 하겠다. 따라서, 국외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 대학별 학생부 대체 서식 작성 요령과 표준화 학력 자료에 대한 대학별 정책을 잘 확인하여 입시에 실수가 없어야 한다. 또한,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서 준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하겠다. 광고 : 해외고 수시 전형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전화: 070-7918-5577 / 010-2446-5941 카카오톡: ACSAKorea / 위챗: ACSAKorea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

아시아 교육 허브 홍콩, 지원 전략 및 장학금 요령

아시아 교육 허브 홍콩, 지원 전략 및 장학금 요령

재외국민교육정보 교육국 세계가 주목하는 홍콩의 대학들, QS 랭킹으로 본 경쟁력 홍콩 대학들의 글로벌 위상은 세계 대학 평가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 따르면, 홍콩대학(HKU)이 17위에 오르며 아시아 최고 명문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이어 홍콩중문대학(CUHK)이 36위, 홍콩과기대학(HKUST)이 47위, 홍콩폴리텍대학(PolyU)이 57위, 홍콩시립대학(CityU)이 62위를 기록하며 5개 대학이 100위권 내에 포진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이들 대학은 각기 다른 특성화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홍콩대학은 의학, 법학 등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홍콩과기대학은 공학과 경영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한다. ▲홍콩중문대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강점을 보이며, ▲홍콩시립대학과 ▲홍콩폴리텍대학은 각각 비즈니스와 호텔경영 등 실용 학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홍콩 유일의 교육 특성화 대학인 ▲홍콩교육대학(EdUHK) 역시 교사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 잡고 있다. 광고 : 홍콩대학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학비 및 생활비, 철저한 자금 계획은 필수 홍콩 유학을 고려할 때 가장 먼저 따져봐야 할 부분은 비용이다. 비영어권 학생 기준 연간 학비는 대학별로 약 14만~18만 홍콩달러(한화 약 2,500만~3,200만원) 수준이다. 여기에 기숙사비와 식비, 교통비, 개인 용돈을 포함한 연간 생활비를 더하면 총 1년 유학 비용은 약 20만~28만 홍콩달러(한화 약 3,500만~5,0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홍콩은 물가가 높은 도시이므로, 유학 결정 전 학비와 생활비를 포함한 구체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다행히 홍콩 정부와 각 대학은 우수 국제 학생 유치를 위해 '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일대일로 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학비 부담을 덜 수 있는 길도 열려 있다. 구분 연간 학비 (HKD) 연간 기숙사비 (HKD) 연간 예상 생활비 (HKD) 총 연간 예상 비용 (HKD) 홍콩대학 (HKU) 182,000 17,920 - 37,940 50,000 - 65,000 250,000 - 285,000 홍콩과기대학 (HKUST) 155,000 16,926 - 28,521 50,000 - 65,000 222,000 - 249,000 홍콩중문대학 (CUHK) 145,000 약 15,000 35,000 - 50,000 195,000 - 210,000 홍콩시립대학 (CityU) 145,000 약 16,700 40,000 - 60,000 201,700 - 221,700 홍콩폴리텍대학 (PolyU) 145,000 약 14,500 50,000 - 65,000 209,500 - 224,500 홍콩교육대학 (EdUHK) 140,000 약 12,200 - 17,290 40,000 - 55,000 192,200 - 212,290 참고: 위 금액은 참고용이며, 최신 정보는 각 대학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생활비에는 식비, 교통비, 교재비, 개인 용돈 등이 포함된다. 성공적인 입시 전략: 자기소개서와 맞춤형 준비가 관건 홍콩 대학 입시의 핵심은 '학업 능력 증명'과 '학업 동기'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원자들은 자신의 교육 과정에 맞는 최적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 수능, IB, AP, A-Level 나에게 맞는 전략은? 홍콩 대학들은 다양한 교육 시스템을 존중하며, 여러 종류의 학업 능력 증명 자료를 인정한다. 수능 응시자: 최상위권의 수능 성적과 우수한 고교 내신 성적이 필수적이다. 지원하려는 학과와 관련된 과목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IB Diploma 이수자: 홍콩 대학들은 IB 교육과정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IB 최종 점수(Predicted Grade 포함)가 가장 중요한 평가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대학에 따라, 45점 만점에 30점대 초반에서 40점대 초반의 점수를 요구한다. 특히 Higher Level(HL) 과목과 지원 전공의 연관성을 자기소개서에 잘 녹여내는 것이 합격의 관건이다. AP/SAT 이수자: 높은 AP 시험 점수(4~5점)와 SAT 점수는 강력한 학업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3~4개 이상의 AP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확보하고, 이를 지원 전공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A-Level 이수자: A-Level 역시 홍콩 대학에서 비중 있게 평가하는 자격이다. 일반적으로 3~4개 과목에서 A*~A에 해당하는 우수한 성적을 요구하며, 전공과 관련된 과목 선택이 중요하다. 한국인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홍콩 대학들은 우수한 국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학생들은 '국제 학생(International Students)' 자격으로 아래 장학금들을 신청할 수 있다. 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Entrance Scholarships): 가장 보편적인 장학금으로, 별도의 신청 없이 입학 지원 시 제출한 성적(수능, IB, AP, SAT 등)을 바탕으로 자동 심사된다. 학비 전액 면제부터 일부 감면까지 혜택은 다양하다. Belt and Road Scholarship: 홍콩 정부가 '일대일로' 참여 국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장학금으로, 한국도 포함된다. 학비 전액을 지원하는 매우 경쟁률이 높은 장학금이라할 수 있다. 각 대학별 특별 장학금: 각 대학 및 학과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도 주목하자. 예를 들어, 특정 전공 우수 학생, 특정 활동(리더십, 봉사 등) 경력자 등이 그 대상이다. 입학 후에도 재학생을 위한 다양한 장학금 기회가 있으므로 입학 후 학업역량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한 장학금 혜택도 고려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요령 홍콩 대학 입시에서 자기소개서(Personal Statement)는 학업 성적만큼이나 중요한 평가 요소라 할수 있으며, 단순히 자신을 소개하는 글이 아니라, 왜 이 대학, 이 학과에 지원하는지에 대한 학업적 동기와 열정을 보여주는 학업 계획서에 가깝다는 것도 특징이라 하겠다. 학업적 동기 강조: 지원하는 전공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를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관련 과목 수강 경험, 독서, 연구 활동, 수상 경력 등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서술하며 자신의 학문적 열정을 증명하는 것이 좋다.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이해: 왜 다른 대학이 아닌 바로 '이 대학'인지, 그리고 왜 '이 학과'에서 공부하고 싶은지를 명확히 밝히도록 하자. 대학의 특정 교수, 커리큘럼, 연구소 등을 언급하며 자신의 학업 목표와 대학의 강점이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연결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 하겠다. 미래 학업 및 진로 계획: 대학 졸업 후의 장기적인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고, 해당 대학에서의 학업이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진솔하고 개성 있는 글: 천편일률적인 내용보다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진솔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스토리를 통해 차별화된 인상을 남겨보자.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불필요한 미사여구나 문법적 오류는 피하고, 간결하고 명확한 영어로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접수 시 필요한 주요 사항들 홍콩 대학 지원 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서류와 정보가 필요하다. 학업 성적 증명서: 고등학교 성적 증명서 (영문) 공인 학업 능력 시험 성적: 수능, IB Diploma, A-Levels, SAT/AP 등. 한국 학생의 경우, 우수한 수능 성적과 내신 성적으로 지원 가능하며, 대학 및 학과별 요구 조건이 상이하다. IB나 AP 점수가 있다면 큰 강점이 된다. 공인 영어 능력 시험 성적: IELTS 또는 TOEFL 성적이 필수이다. 대학별, 학과별로 요구하는 최소 점수가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하겠다. 일반적으로 IELTS 6.0~6.5, TOEFL iBT 80~93점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자기소개서 (Personal Statement) 추천서 (Reference Letter): 일반적으로 1~2인의 교사 추천서가 필요하다. 자신을 잘 알고 긍정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선생님께 미리 이야기하여 지원에 문제 없도록 준비해야 한다. 여권 사본 기타 활동 증빙 서류 (선택): 교내외 수상 경력, 봉사 활동, 리더십 활동, 인턴십 등 자신의 강점을 보여줄 수 있는 서류가 있다면 제출하는 것이 좋다. 인터뷰: 일부 대학 및 학과에서는 서류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자기소개서와 학업 계획에 대한 심층적인 질문에 대비해야 한다. 실지로,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홍콩 계열 대학들의 물리학과에 지원한 경우가 있었는데, 영어에 대한 역량이 조금 부족하더라 하더라도, 물리의 열정과 학업적 역량을 설명하여 합격한 사례가 있으므로, 영어를 유창하게 하는 것 보다 자신의 전공에 대한 열정과 학업적 역량을 나타내는 데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각 대학별 접수 사이트 홍콩 대학들은 대부분 자체 입학 지원 시스템을 통해 원서를 접수한다. 홍콩대학 (HKU): HKU Admissions (https://admissions.hku.hk/) 홍콩과기대학 (HKUST): HKUST Undergraduate Admissions (https://join.hkust.edu.hk/) 홍콩중문대학 (CUHK): CUHK Office of Admissions and Financial Aid (http://admission.cuhk.edu.hk/) 홍콩시립대학 (CityU): CityU Admissions Office (https://www.cityu.edu.hk/admo/) 홍콩폴리텍대학 (PolyU): PolyU Study (https://www.polyu.edu.hk/study/) 홍콩교육대학 (EdUHK): EdUHK Admissions (https://www.eduhk.hk/admissions/) 세계의 중심으로 뻗어 나가는 홍콩에서 글로벌 인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미래를 설계하려는 한국 학생들의 도전이 뜨겁다. 철저한 정보 탐색과 전략적인 준비를 통해 아시아 교육 허브, 홍콩의 문을 두드려 볼 시점이다. 광고 : 홍콩대학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전화: 070-7918-5577 / 010-2446-5941 카카오톡: ACSAKorea / 위챗: ACSAKorea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

미국 대입 당락 가를 '커먼앱', 합격의 열쇠는 '자기소개서'에 있다.

8월 1일 지원서 개막... 'Test-Optional' 시대, 개성과 잠재력 드러낼 차별화된 에세이 중요성 부각

미국 대입 당락 가를 '커먼앱', 합격의 열쇠는 '자기소개서'에 있다.

재외국민교육정보 교육국 2025학년도 미국 대학 입시 시즌이 다가오면서, 900개 이상의 대학이 사용하는 공통 지원서 플랫폼 '커먼앱(Common App)'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특히 주요 대학들이 SAT/ACT 점수 제출을 선택 사항으로 두는 'Test-Optional' 정책을 유지하거나 확대하면서, 학업 성적만으로는 변별력을 갖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지원자의 개성, 잠재력, 지적 호기심을 드러내는 자기소개서(Personal Essay)가 합격의 당락을 가를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오는 8월 1일 커먼앱 시스템이 공식적으로 열리는 가운데, 성공적인 대입을 위한 커먼앱의 주요 구성 요소와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을 집중 분석한다. 광고 : 미국 대학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Common App 지원 시기 서비스 개시: 매년 8월 1일(Common App 공지 기준) 지원 마감 시기: 조기 결정(Early Decision/Early Action)은 일반적으로 11월 1일, 정시 지원(Regular Decision)은 약 2월 1일, 하지만 학교별로 상이함 계획 팁: 늦어도 봄·여름에는 계정 생성 및 항목 점검을 시작해야 충분한 작성 및 피드백 시간 확보 가능 주요 전형 및 마감일, 전략적 접근 필수미국 대입 전형은 크게 얼리(Early)와 레귤러(Regular)로 나뉜다. 8월 1일 커먼앱 작성을 시작으로, 지원자들은 다음과 같은 타임라인에 맞춰 전략을 세워야 한다. 얼리 디시전(ED) / 얼리 액션(EA): 마감일은 통상 11월 1일 또는 11월 15일이다. ED는 합격 시 반드시 등록해야 하는 구속력이 있는 전형으로, 특정 대학에 대한 강한 선호도를 보여줄 수 있다. 레귤러 디시전(RD): 대부분의 대학이 1월 1일에서 15일 사이에 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일부 주립대학은 마감일이 더 빠를 수 있어 개별 확인이 필수적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여름방학 기간에 자기소개서 초안을 완성하고, 활동 내역 정리 및 추천서 요청 등 사전 준비를 마쳐야 혼란 없이 지원 절차를 밟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성적부터 활동까지, 커먼앱의 주요 구성 요소커먼앱은 지원자의 정보를 입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항목의 기입을 요구한다. 기본 정보: 개인 신상, 가족, 학력 정보 시험 점수: SAT, ACT, TOEFL, AP 등 표준화 시험 점수 (대학별 Test-Optional 정책 확인 필수) 활동 내역: 최대 10개의 교과 외 활동 (학술, 봉사, 리더십, 예술, 체육 등) 작문 (Writing): 650단어 제한의 자기소개서(Personal Essay)와 대학별 추가 에세이(Supplemental Essays) 이 외에도 고등학교 공식 성적표, 카운슬러 및 교사 추천서 등이 별도로 제출되어 지원자의 프로필을 완성한다. 2024-2025년 자기소개서 7개 문항 공개올해 커먼앱 자기소개서 문항은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지원자는 7개 문항 중 하나를 선택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내야 한다. 자신의 정체성, 배경, 재능에 대한 이야기 도전, 좌절, 실패의 경험과 그로부터 얻은 교훈 기존의 신념이나 아이디어에 의문을 제기했던 경험 예상치 못한 감사함이나 행복감을 느끼게 한 타인의 행동과 그 영향 개인적 성장을 촉발한 성취, 사건, 깨달음 시간 가는 줄 모를 정도로 몰입하는 주제나 아이디어 자유 주제 '나만의 이야기'가 핵심, 효과적인 작성 전략은?입학사정관들은 수천 편의 에세이 속에서 지원자의 진정한 목소리를 찾고자 한다. 합격으로 가는 에세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보여주기(Showing)' 기법을 활용한다. '나는 끈기 있는 사람이다'라고 주장하기보다, 끈기를 발휘했던 구체적인 경험을 생생하게 묘사해 독자가 스스로 결론 내리게 만들어야 한다. 둘째, 성찰의 깊이를 드러낸다. 어떤 사건을 겪었다는 사실 자체보다, 그 경험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였고, 어떻게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이끌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담겨야 한다. 특히 실패 경험(2번 문항)이나 성장의 계기(5번 문항)를 다룰 때 이 점이 두드러진다. 셋째, 진정성 있는 목소리가 담겨 있다. 어른의 시각이나 어려운 어휘로 포장하기보다, 10대 학생의 시선으로 솔직하고 진솔하게 작성한 글이 더 큰 울림을 준다. 지적 호기심(6번 문항)을 다룰 때도 순수한 열정이 드러나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서·추가 에세이도 당락 가를 변수자기소개서 외의 요소들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많은 상위권 대학이 요구하는 "왜 우리 대학인가?(Why Us?)"와 같은 추가 에세이는 학교에 대한 지원자의 관심과 이해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잣대다. 학교의 특정 프로그램, 교수, 연구 기회 등을 자신의 목표와 연결해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또한, 최대 10개까지 작성하는 활동 내역은 자신의 역할과 성과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미니 이력서'이며, 교사 추천서는 제3자의 시선으로 지원자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ACSA 입시컨설턴트 김기모 대표는 "미국 대입은 성적, 활동, 에세이, 추천서 등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종합 평가'"라며 "자기소개서는 이 모든 퍼즐을 완성하고, 성적표 너머의 '진짜 나'를 보여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광고 : 미국 대학을 고려한다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전화: 070-7918-5577 / 010-2446-5941 카카오톡: ACSAKorea / 위챗: ACSAKorea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

2026학년도 재외국민전형 지원을 위한 준비사항

2026학년도 3월 입학을 위한 재외국민 특례 전형의 준비사항에 대해서 알아본다.

2026학년도 재외국민전형 지원을 위한 준비사항

재외국민전형(3특, 12특)을 위한 서류 준비 과정과 필요 서류들은? 【재외국민교육정보 = 교육국】 2026학년도 국내 대학의 재외국민 및 전교육과정 해외이수자 전형(이하 3특, 12특) 준비가 본격화되면서, 7월 원서 접수를 앞둔 학부모와 수험생들은 서류 준비에 대한 부담과 고민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3특과 12특 전형을 준비함에 있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로는 정확한 학적기록에 관한 서류 준비와 학적기록의 정리가 꼽힌다. 구체적으로는 ▲초·중·고 재학 내역 ▲학년 및 학기별 시작·종료일 ▲학교별 학사일정표(School Calendar) ▲학교 기본정보(주소, 연락처, 홈페이지, 이메일 등)를 빠짐없이 수집·정리하는 것이 입시 서류 준비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재외국민 준비서류가 고민이라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또한 지원자의 한국 내 체류 이력 중 학기 중 2주 이상 체류한 경우가 있다면, 해당 기간과 체류 사유를 명확히 기재해야 한다. 이는 지원 자격 심사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스쿨 캘린더, 재학증명서, 성적증명서 등 모든 서류는 학년별로 내용이 일관되고 정합성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재학 및 성적증명서는 반드시 영사확인 또는 아포스티유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 일부 대학에서는 스쿨 캘린더의 학기 일정 불일치 등을 이유로 추가적인 보완 서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학교 측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초기부터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대학마다 요구하는 서류 양식이나 제출 방식에 차이가 있는 만큼, 지원자와 학부모는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각 대학의 입시 요강을 충분히 숙지한 후, 서류 항목과 제출 형식을 정확히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준비에 돌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학적기록은 이렇게 정리하자 가장 먼저 준비해 두어야 할 내용으로 학적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적기록을 통해서 지원자의 자격심사기준표를 완성해 보는 것을 추천 한다. 이러한 자격심사 기준표를 통해서 지원자의 학기누락 및 중복 등에 대한 사유서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재학기간에 대한 정보는 학 학기마다 시작일과 종료일을 모두 기록해서 준비해 놓아야 만 추후에 원서접수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항목 예시 학교명 OOO International School 재학학기 First Grade: Term 1: September 3, 2013 to December 6, 2013 Term 2: December 9, 2013 to March 7, 2014 Term 3: March 9, 2014 to June 13, 2014 Second Grade: Term 1: September 3, 2014 to December 6, 2014 Term 2: December 9, 2014 to March 7, 2015 Term 3: March 9, 2015 to June 13, 2015 . . . 재학기간 2012년 00월 00일 ~ 2025년 00월 00일 또한 학기 중 한국 체류(2주 이상)가 있었던 경우, 정확한 날짜와 한국 방문에 대한 사유를 기재해야 한다. 3년특례와 12년 전과정 해외이수자 모두 해외에서 수학한 전 학년(G1~G12)의 스쿨 캘린더를 반드시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학교 공식자료 혹은 홈페이지 캡처본도 활용 가능하다. 단, 준비가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입증서류(학교확인서 등)가 요구될 수 있으므로 재학했던 학교에 스쿨칼렌더를 대체할 수 있는 서류를 요구해서 받도록 해야 한다. 2. 해외 재학 학교 정보도 빠짐없이 각 대학은 해외에서 재학했던 학교의 정보를 받고 있다. 이 서류를 '학력조회 동의서'라고 하는데 대학마다 요구되는 정보가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항목 필수여부 예시 공식 학교명 필수 OOO International School 전화번호 필수 +1-234-567-8901 주소 필수 123 Apple St., New York, USA 팩스번호 선택 +1-234-567-8910 홈페이지 필수 www.oooschool.org 담당자 이메일 필수 admin@oooschool.org 재학기간 필수 2012.09.03 ~ 2025.06.05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의 학번(학교에서의 ID)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보를 받는 이유는 대학이 지원자의 재학에 대한 사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학교에 재학 사실을 문의하기 위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만일, 재학했던 학교가 폐교 등으로 이러한 정보를 제출할 수 없다면 해당 지역의 교육청 등의 자료를 근거로 사유서를 제출해야 한다. 3. 전형 유형별 제출 서류 12특 전형 (전 교육과정 해외이수자) 서류 항목 제출 여부 비고 초·중·고 성적 및 재학증명서 제출 영사확인 필수 고등학교 졸업(예정)증명서 제출 영사확인 필수 국외학교 학사일정표 제출 모든 학년 필수, 영사확인 불필요 출입국사실증명서(부·모·학생) 제출 출생일 ~ 고졸까지의 기록 필요 여권 사본 및 여권정보증명서 제출 출입국기록과 여권번호 일치 필요 스쿨 프로파일 제출 권장 영사확인 불필요 고교 재학 중 활동 증빙서류 제출 권장 일부 대학 교내 활동만 인정(서류전형만 해당) 공인시험 성적(TOEFL, SAT 등) 선택 제출 시 가산 가능성 있음(서류전형만 해당) 3특 전형 (재외국민 정원외 2%) 서류 항목 제출 여부 비고 초·중·고 재학증명서 제출 재학일 명기, 아포스티유/영사확인 필요 초·중·고 성적증명서 제출 아포스티유/영사확인 필요 고등학교 졸업(예정)증명서 제출 졸업일 명기 필요 국외학교 학사일정표 제출 모든 학년, 학교홈페이지 캡처 가능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6월 10일 이후 발급본 인정 부 또는 모의 재직 관련 서류 제출 - 국외 파견근무자: 재직(경력)증명서(파견국가 및 기간 명시), 해외직접투자신고서 - 현지 자영업자: 사업자등록증, 과세증명서 (영사확인필) - 현지법인 근무자: 법인등록증 사본, 재직(경력)증명서, 법인세납부이력 또는 개인소득세증명 (영사확인필) 출입국사실증명서(학생) 제출 초6 ~ 고졸까지의 기록 필요, 일부대학은 출생일부터 요구. 여권 사본 및 여권정보증명서 제출 출입국기록과 여권번호 일치 필요 재외국민등록부등본 제출 부·모·학생 모두 활동증빙서류 및 탐구활동 인증 선택 고등학교 활동 중심, 일부대학 교외활동 인정 안함(서류전형만 해당) 공인시험 성적(TOEFL, SAT 등) 선택 필수는 아님(서류전형만 해당) 3년 특례에 해당하는 지원자의 경우, 부 또는 모의 재직 관련 서류 제출이 필수이다. 단, 한국 본사에서 해외 지사로 파견된 경우를 제외하면, 그 외의 모든 경우(현지 취업, 자영업, 현지 법인 근무 등)에는 현지에서 발급한 법인 관련 서류, 세금 관련 서류, 재직 증명서 등을 반드시 영사확인 또는 아포스티유 공증을 받아 제출해야 한다. 이 요건은 지원 자격 심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공증 여부를 사전에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4. 서류 제출 방식에 따른 PDF 스캔 및 준비 부수 지원 대학의 서류 제출 방식이 온라인 PDF 업로드인지, 우편 제출 또는 면접 시 직접 제출인지를 먼저 확인해야 하며, 이에 따라 서류 준비 부수도 달라진다. 대부분의 서류 전형 대학은 PDF 업로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서류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의 경우 기본적으로 2부 ~ 4부 정도의 서류 준비가 권장된다. 반면, 면접 전형이나 지필시험 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의 경우 우편 제출이 많아, 최소 6부 이상의 서류 준비가 필요할 수 있다. PDF 스캔본을 제출할 경우 제출 방식이 대학별로 요구사항이 상이하므로, 지원하려는 각 대학의 제출 요령을 반드시 사전에 숙지하고, 원서 마감 약 20일 전부터 본격적인 서류 정리에 착수하는 것을 권장한다. 입시전문가들은 “특히 2026학년도부터는 서류의 진위성과 체계적 구비 여부가 더욱 중요해졌다”라며, “미비한 학적 정보나 불분명한 활동 기록은 심사과정에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입을모아 조언한다. 또한 “학교별로 요구되는 양식과 내용이 상이하므로, 각 대학 입학처가 공개한 최신 모집요강을 반드시 확인하고, 영사확인 또는 아포스티유 여부를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다가오는 7월 지원 준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재외국민 준비서류가 고민이라면? 지금 바로 상담신청! 상담 신청 바로가기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전화: 070-7918-5577(010-2446-5941) 카카오톡: ACSAKorea 위챗: ACSAKorea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


국내대 입시

더보기

학원동향

더보기

해외대 입시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